이 글은 도서출판 담론에서 제작하는 ‘교원총서(가)’의 일부입니다. 교원총서(가)는 선생님들의 교육담론을 담고 있으며 최소 100권의 시리즈로 만들어질 예정입니다.

* 문의 : oessol@naver.com

안영숙 소개

제주에서 태어나 제주에서 성장했다. 제주교육대학교를 나온 후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학을 전공했고 1급 전문상담교사, 수석교사를 역임했다. 현재는 퇴임 후의 삶을 즐기고 있다. 하지만 언제든지 교사 상담이 필요하면 달려갈 준비가 되어있다.


안영숙(이하 안) :


어떤 선생님은  아이에게 막말을 막 하더라구요. 1년동안 그렇게 살면 아이는 어른들에 대한, 선생님에 대한 생각이 어떻게 되겠어요? 악마같다고 생각하지 않을까? 난 그런 생각을 해요. 야!! 소리지르고.

또 어떤 선생님은 애들 숨도 못 쉬게 만들어. 내가 일주일에 한 번씩 그 교실에 들어갔는데  좀 일찍 도착할 경우도 있어요. 교실 문 앞에서 선생님 하는 거 보면 막~~~!!!!  

김외솔(이하 김) :

아이들이 쫄아있겠네요.


안 :

그 반에 처음 들어갔을 때 첫 인상이 애들이 너무 가만히 있었다는거에요. 

"좀 웃어봐~ 뭐가 그렇게 무서운 일이 있었어?"
 
내가 이러니까 얘네들이 이상한거야. 이건 또 뭐야? 하지만 그게 쉽게 풀리나.

"우리 이제 재미있게 공부해볼까?"

하지만 딱 봐도 아이들은 믿지 않는 눈치에요. 

'무슨 재미있게 공부를... 무슨~ '

그러면서 자요.
 
"편하게 앉아봐. 그렇게 안 앉아도 돼."

애들이 말도 한 마디도 안해. 선생님만 말하고 질문 한 것에만 대답하고.

나는 말을 많이 안 하는 편이에요. 선생들이 몰라요. 선생님이 말을 적게 하고 아이들에게 말 많이 하라고 하면 덜 피곤한데 선생님만 얘기해~ 맨날 얘기해.

정말 큰 거~ 해서 안되는 거~ 아니면 하지 말아야할 것은 몇 개면 충분하고 그건 왜 하면 안되는지만 말해주면 아이들은 '그래~ 이건 하면 옳지 않은거야~' 하면서 기쁘게 할 수 있는데 ‘왜’는 말 안하고 지시나 명령만 하니까 아이들도 실천을 안하는거지. 왜를 말해주면 이건 이래야하기 때문에 당연한거야, 라고 받아들여요.

어떤 선생님은 1학년을 맡았는데 이 선생님이 극과 극을 달리더라고. 기분 좋으면 이랬다가 자기 기분 나쁘면 소리지르고... 그럼 애들이 눈치만 봐요. 지난 번에 이 선생님 수업봤을 때 이렇게 하면 이러고 이렇게 하면 이러고... 
 
물론 원칙은 필요해요. 하지만 요즘 선생님들은 종을 갖고 훈련을 시키려고 하더라고. 파블로프의 종 이야기... 제발 그거 하지마~ 그거 개훈련 시키는거니까. 볼펜가지고 그냥 탁탁 이정도. 그럼 이렇게 물어봐요.

"그게 어떻게 다 들려요?"

"한 번에 하려고 하지 말아. 아이들이 무슨 활동하다가 바르게 앉아야할 때 볼펜으로 탁탁, 이렇게 치면 요 아이들이 들어. 탁탁~"
 

처음에는 교탁 주변의 아이들이 조용해지겠지. 그러다 그 주변 아이까지 조용해져요. 이렇게 3번만 하면 아이들이 다 알아들어요. 그런데 종 빵빵빵빵 치고... 그거 안돼요. 

어떤 선생님 수업할 때 보니까 아이들 조용히 시키려고 이러더라고. 선생님이 ‘1학년!’하고 외치니까 아이들이 ‘몇 반!’이라고 답을 하는 방식이야. 그걸 해도 제대로 안돼. 그걸 15번이나 해도 안되서 나, 그냥 교실을 나와버렸어요. 그렇게 해서는 수업이 안돼요. 선생님이 가르치려고만 하니 그게 되나...

이게 가르침과 배움의 문제에요. 아이들이 배우고자해야 가르칠 수 있는거에요. 그래서 아이들이 배우고 싶겠끔 만들어야죠.

"뭐가 궁금해? 오늘 뭐할까? 이건 뭐지?"


김 :

선생님 경력이 짧아서 그런 거 아닐까요?

안 :

경력이 많은 선생님도 그래요. 무섭게 터터턱 하면 애들이 무서워서 앞에서는 시키는대로 한다고.

그건 아니에요. 뭔가 아이들이 움직이긴하는데 조용한 거. 서로 방해 안되게 움직일 수 있는데 수업 방법이여야한다고 봐요. 나는 목소리에도 원칙을 정해요. 3가지가 있는데 1번 목소리는 짝꿍끼리 말하는 거. 이건 다른 애들에게는 안 들려요. 둘이만 어쩌구 저쩌구.

난 밥 먹을 때도 1번 목소리로 말하라고 해요. 밥 먹을 때 밥만 먹으래... 그게 어떻게 소화가 돼?나는 밥 먹을 때 이렇게 해요. 내 중심으로 앞, 옆 해서 6명. 또 얘 중심으로 6명. 이러면 서로서로 1번 목소리로 조용히 이야기할 수 있어요. 목소리가 커질 수가 없어. 그 대신 '밥알이 남에게 튀면 기분 안 좋으니까 밥은 삼키고 말해야지' 이런 정도만 해주면 애들 되게 즐겁게 식사를 해요. 


김 :

그러니까 무엇을 시킬때는 최대한 구체적으로 얘기를 해야한다는거군요. 조용히 하라고 하면 어느정도 조용해야할지를 정해줘야하구요.  

안 :

왜 조용히는 해야하는지도 이야기해줘야해요. 


김 :

음... 선생님들이 그걸 얘길 안해주는구나... 


안 :
 
"조용히? 조용히가 뭐지? 조용히를 어떻게 하지?"
 
교사의 목소리가 크면 아이들도 커져요. 복도로 지나갈 때 그 선생님 수업 내용이 다 들릴정도에요. 그게 아니라 복도를 지나가는데 '무슨 얘길 하지?' 이정도 되어야해요. 그래야 아이들이 집중을 잘해요. 목소리가 크면 아이들이 잘 들을 것 같지만 그렇지 않아요. 목소리가 조금 작으면 잘 듣기 위해서, 잘 안 들리면 입모양이라도 봐야하니까 집중을 해요.

2번 목소리는 모둠이 들을 수 있는 정도. 여기서 막~ 소리 지르면 저쪽 모둠 아이들은 여기 이기려고 더 하고 더 하고 더 하고... 이렇게 되요. 결국은 난장판이 되죠. 어떤 아이들은 책상을 막 치면서 소리 지르기도 해. 그렇게 하는 것은 활발한 수업이 아니라는거지. 그래서 2번 목소리는 모둠에서 누구든지 다 들을 수 있는 정도.

그 다음 3번 목소리는 일어서서 발표할 때. 앞에 나와서 발표할 때는 다 들어야하니까 큰 소리로. 어떤 아이들은 쉬는 시간에 소리를 막 질러. 그러면 저는 불러서 이렇게 이야기해요.

"그건 밖에서 내야 할 소리같은데~"
 
이렇게만 말해주면 돼요.

목소리 큰 애들은 어느 곳에나 있어요. 3월 처음 만났을 때 막~~ 큰 소리 지르는 애. 내가 맨 처음 습관들일 때 아이를 불러 하는 말이 이거에요. 

“누구야~ 선생님 귀는 잘 들리는데 너무 큰소리로 하니까 선생님 귀가 너무 아파."
 
이런 얘기를 해주는거에요. 그럼 얘가 혼나지는 않았는데 웬지 미안하고... 물론 습관이 쉽게 바뀔 수 없으니까 다음 날 또 해요.

"누구야~ 선생님 귀 아파. 넌 귀 안 아파?"
 
하고 그 아이에게 가서 작은 소리로 말해요. 그러면 옆에 아이가 꼭 끼어들어.

"저도 귀 아파요~"

자기 목소리도 크면서. :D

"그치? 조금 작은 소리로 말해도 잘 들려. 이제부터 조금씩 작게 말해볼까?"
 
물론 또 안돼요. 그 땐 이렇게 하죠.

"선생님이 신호를 보내줄까? 너의 목소리가 너무 크건 소리 지를 때 내가 친구들 모르게 신호를 보내줄까"

이런 걸 약속해요. 그럼 순식간에 일어나기 때문에 친구들은 몰라요. 하지만 얘는 약속을 했기 때문에 나를 계속 봐야하잖아요. 내가 신호를 보낼 때 마다 아이는 자신의 목소리가 너무 컸다는 건 인식하게 되죠. 이렇게 하면 아이들이 자~~ 꾸 집중하게 돼요.